메니에르병이란?
귀 질환 중 주기적으로 이명과 난청이 있다가 돌연히 회전성의 심각한 어지러움과 귀의 팽만감을 증상으로 나타내는 질환이 있습니다. 이를 메니에르병 이라고 한다.
신체의 평형감각 장애 상태인 어지러움이 나타나는 메니에르병은 주로 30~60대 사이에 잘 나타나며, 통계적으로는 1달에 3~10회까지 다양하며 매일 증상이 계속 되거나 또는 1년에 몇 번씩 경고도 없이 발생 할 수 있는 질환으로 대개 한쪽 귀에만 침범하지만 수 년 이상 오래 계속되면 다른 귀까지 나타날 수 있다.
병의 원인
흔히 어지러움증은 뇌속의 이상이 가장 흔한 원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기 쉬운데 실제 내이의 달팽이관과 전정기관등의 이상에 의한 이비인후과적 질환이 50%이상으로 가장 많다.
그 외에 고혈압, 당뇨, 갑상선질환 및 빈혈 등 다양한 내과질환 및 청신경종양, 뇌졸증(중풍)등 중추신경계의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고, 또 나쁜(중추의) 자세나 정신적인 긴장이나 신경과민 등의 원인에서도 올 수가있다. 메니에르병의 원인은 아직 확실치 않다.
내이에서 달팽이관, 삼반규반 내에는 '림프액'이라는 액체로 차있는데 림프액의 과다생성 또는 흡수장애로 인해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서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. 메니에르병을 유발할 수 있는 그 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① 자가면역 반응
(면역반응의 정상적인 조절기능을 잃음으로 나타나는 용혈성 빈혈, 갑상선기능
항진, 근무력증, 전신홍반성 난창 등)
② 알레르기 반응
③ 자율신경 불균형
④ 내이 림프 구조의 폐쇄나 손상
⑤ 바이러스 질환
⑥ 혈관의 불규칙성
⑦ 대사성질환등을 들 수 있다.
메니에르병의 증상 중 어지러움증
가장 고통을 주는 어지러움증은 의학적으로는 '현훈증'이라고 하며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한번 발작시 20~30분 에서 수 시간 지속되거나 몇 주에서 몇 개월 동안 반복적으로 발작하여 나타난다. 환자들이 천정과 바닥이 돌듯이 어지럽다거나 세상이 자기위주로 도는 것 같은 격렬한 회전성 어지러움을 호소하며 심하면 정상적인 생활이 어렵게 된다.
또한 어지러움이 있을 때 안구진탕(눈알이 한쪽으로 왔다갔다 함)이나 구역, 구토, 발한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, 텔레비젼, 라디오 등 외부자극의 큰소리나, 자신의 목과 머리의 움직임 등이 증상을 더 악화 시킬 수 있다.
이러한 어지럼증을 수년이 지나면서 발생 빈도가 대체로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.
예방법
예방법은 역시 이명 난청의 예방법과 유사하며
① 스트레스, 과로
② 과음과 담배
③ 카페인이든 음식
④ 맵고 짠 음식 및 기름진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음식
⑤ 과다한 유독성 약물 복용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과 안정된 마음 자세 가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.
'난청 > 난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니에르환자의 올바른 생활방식 (0) | 2010.11.23 |
---|---|
유아기 청력손실 정도에 따른 언어발달 장애 양상... (0) | 2010.04.02 |
소음성 난청 (0) | 2010.03.30 |
난처의 정도를 보는 표 (0) | 2010.02.19 |
청각장애와 관련된 질병 (0) | 2010.02.17 |